마티스 연작 반복에 대한 탐구
현대 미술의 거장 중 한 명인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는 미술 평론가, 역사학자, 미술 애호가 모두를 매료시켰습니다. 마티스는 형태, 색채, 모티프를 다루는 능력으로 매력적인 회화 작품을 제작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요소 외에도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반복적 연작에 대한 그의 끊임없는 탐구입니다.
연작: 단순함을 넘어서
연작? 시리즈? 이 용어는 마티스의 작품을 정의하기에는 너무 단순합니다. “연작”이라는 용어는 마티스의 접근 방식을 설명하는 데 있어 단편적인 부분만을 가리킵니다.
실제로 야수파 마티스에게 연작은 비슷한 이미지의 단순한 연속이 아니라 끊임없이 진화하는 작업 과정, 즉 형태와 색채를 통한 끝없는 여정이었습니다.
인상주의와 현대 연작의 탄생
예술적 개념으로서의 연작이 진화한 시기는 인상주의의 등장과 일치합니다. 인상파 화가들은 혁신적인 회화 방식을 통해 같은 피사체를 여러가지 방식으로 다루기 시작했고, 이를 모티브로 변형시켰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예술적 탐구의 수단으로서 연작 시리즈를 더 깊이 탐구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현대의 연작들은 전통적인 개념을 뒤집는 변화를 통해 조형적 구문과 작품의 회화적 구성 요소에 중점을 둡니다. 이러한 발전이 피사체를 모티브로 다루던 인상주의 초기에 일어난 것은 우연이 아니며, 인상주의의 연작은 명작에 대한 믿음을 거부하는 탐구의 작업이 됩니다.
인상주의에 영향을 받은 마티스는 이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더욱 발전시켰습니다. 마티스를 차별화하는 것은 반복을 사용하여 내러티브에서 조형적 구문으로 강조점을 옮긴 방식입니다. 그는 단순히 이야기를 전달하거나 장면을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작품 자체의 회화적 요소를 탐구하고자 했습니다.
추상화와 연작 기법
20세기 초, 추상화가 지배적인 회화 체계로 자리 잡으면서 연작 기법은 그 자체로 자리 잡았습니다. 구상에서 추상으로의 전환을 가장 구체적으로 구현한 것은 몬드리안이었으며, 그의 유명한 네 개의 “나무”(1908-1912) 모음에서 나무라고 인식 할 수 있는 주제는 점차 사라집니다.
마티스의 작품은 끝없이 반복, 재창조, 증폭 또는 변형되는 특정 주제에 대한 애착이 특징입니다. 이 특징은 마티스의 작품 사치, 평온, 쾌락(Luxe, calme et volupté, 1904) 또는 Danse의 다른 버전에서 나타납니다 .
이 과정의 가장 좋은 예는 아마도 유명한 과슈 컷아웃 모음집인 ‘재즈(Jazz, 1943-1946)’일 것입니다. 미묘한 변조가 있는 이 음악처럼 화가는 반복되지 않고 서로를 참조하는 추상적인 형태를 사용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각 단계마다 나는 균형과 결론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 단계에서 전체에 약점이 발견되면 이 약점을 통해 그림에 다시 들어가 […] 전체를 다시 보게 됩니다”는 말은 화가의 전체 작품을 관통하는 움직임을 요약합니다.
다양한 주제와 변형
마티스는 다양한 분야를 오가며 같은 주제를 회화, 드로잉, 판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했습니다. 마티스는 “여기 강가에서 모티프가 번성하고, 다른 각도에서 본 같은 피사체가 매우 흥미롭고 다양한 연구 주제를 제공하기 때문에 때로는 오른쪽으로, 때로는 왼쪽으로 몸을 기울이면서 자리를 바꾸지 않고 몇 달 동안 몰두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을 정도로 주제나 모티프는 구분과 순서가 없이 다양합니다.
작가의 손으로 기록한 눈의 수평적 움직임에 대한 세심한 묘사는 카메라가 촬영한 트래킹 샷을 떠올리게 합니다. 이러한 자연에 대한 비전을 마주하면 마티스의 전체 회화 작품을 특징짓는 꽃 모티브와 식물 세계의 다양한 변형을 떠올리게 되는데, 특히 1940년대에는 ‘주제와 변주'(1943)로 정점을 찍는 꽃 모티브가 특히 주목됩니다.
여기서 변주라는 용어는 필수적입니다. 연속적인 전개와 구성 요소 간의 명확한 유사성에 기반한 시리즈 대신, 변주는 방사형 구조를 미약하고 불연속적인 연결 고리로 대체합니다.
마티스의 작품에서 변형은 스튜디오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풍부하게 펼쳐집니다. 설명적 의도 뒤에는 아날로그적 구조와 그 형식적이지만 의미 있는 변형(그림 내부/외부 관계, 작가의 존재/부재)을 포착하려는 욕구가 숨어 있습니다.
화가가 세부 사항에 초점을 맞출 때 스튜디오는 연작의 성격을 띠게 되며, 실제로는 맥락에서 벗어나 진정한 라이트모티프(leitmotiv)로 전환됩니다.
라이트모티프라는 단어는 독일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음악, 문학 또는 영화 작품에서 반복되는 주제 또는 모티프를 의미합니다. 라이트모티프는 작품 전체에 걸쳐 반복되어 해당 주제나 캐릭터의 전개, 변화, 감정 등을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마티스의 작품에서 금붕어 어항이 체계적으로 반복되는 경우가 라이트모티프에 해당합니다 – Intérieur, bocal de poissons rouges (1914), Poissons rouges et palette (1914-1915)
흥미롭게도 마티스와 함께 시리즈의 가장 가까운 예는 그림이 아니라 조각에서 발견됩니다. 신체가 볼륨으로 변형된 기념비적인 작품 네 점(1909년과 1930년)은 이 예술 양식의 본질적인 원칙, 즉 피사체가 완전히 분해되지 않고 점점 더 단순화된 형태를 향한 체계적인 진화를 확립한 작품입니다.
상상의 연작으로서의 사진
1930년대부터 마티스는 사진을 사용하여 자신의 작품을 기록하기 시작했습니다. 작품의 진화를 보여주는 이 사진들은 그 자체로 하나의 시리즈를 형성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작품이 어떻게 진화하고 변화하는지를 보여주며 그의 창작 과정에 대한 독특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다른 곳에서 우리는 무의식적이지만 필연적인 상상의 시리즈를 발견합니다. 이것은 1930년대부터 반복적으로 나타난 그의 그림에 대한 사진 기록입니다.
눈에 띄는 예는 1935년 5월부터 11월에 걸쳐 작업한 것입니다. 마티스가 매 작업 세션이 끝난 후 정기적으로 촬영한 사진 덕분에 우리는 이 작품의 연속된 24개의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이 사진들은 그의 창작 과정에 대한 진화하는 기록 역할을 합니다. 이 사진들을 통해 마티스가 완벽한 완성품이라고 판단한 ‘기호’에 도달할 때까지 모델의 형태가 변형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작품의 발전을 목격하는 이 이미지들은 포기, 파괴, 은폐, 삭제 또는 회개에 의해 수정된 것을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하나의 시리즈를 형성합니다.
같은 방식으로, ‘루마니아풍의 블라우스를 입은 여인'(1940)의 14장의 사진은 캔버스의 주요 주제를 방해 할 위험이 있더라도 배경 요소를 점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화가가 추구한 순수성을 보여줍니다. 일시적인 가상의 시리즈 또는 ‘진행 중인 작업’의 세련된 버전의 문서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사진의 기적일까요?
마티스 연작 글을 마치며
야수파 마티스의 다양한 작품은 시리즈의 개념과 미술사에서 사용되는 다른 개념, 즉 변형, 순서, 주제, 모티프 또는 반복과의 관계에 대한 성찰을 불러일으킵니다.
마티스의 작품은 모든 예술 애호가에게 보물창고와도 같은 작품입니다. 반복에 대한 탐구, 다양한 형식과 매체를 통해 주제를 탐구하는 능력, 기술적인 숙달로 인해 마티스는 놀라움과 혁신을 거듭해 예술의 경계를 허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