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예술가들의 시리즈 작품 리히텐슈타인, 워홀, 허스트, 모세

근대성의 도래는 예술가들에게 방대한 실험의 장을 열어주었습니다. 등장한 여러 사조와 접근 방식 중 연작 미술은 예술을 인식하고 창작하는 방식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로이 리히텐슈타인, 앤디 워홀, 데미안 허스트, 올리비에 모세와 같은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연작 예술이 어떻게 도전하고 의문을 제기하며, 어떤 면에서는 명작의 개념을 새롭게 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예술에서 연작의 역사적 기원

19세기에 인상주의가 부상하면서 연작 미술이라는 개념이 자리 잡기 시작했습니다. 클로드 모네는 루앙 대성당과 수련 연작을 통해 빛, 원근법 또는 감정의 변화를 반영하여 동일한 모티브를 무한히 재해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와 대중문화가 발달하고 예술이 상업화되면서 연작은 완전히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했습니다.

시리즈 작업 : 모네에서 리히텐슈타인으로

로이 리히텐슈타인은 모네의 인상주의적 터치를 기계적으로 분산된 점선 인쇄 화면으로 해체한 “대성당”을 작업했습니다. 모네의 인상주의 붓 터치를 기계식 인쇄 스크린을 통해 파편화함으로써 예술적 과거와 산업적 현대성을 융합했습니다.

작업 결과는 1968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예술의 연속성을 주제로 한 최초의 주요 전시회인 “연속 이미지”에서 볼 수 있었습니다.

로이 리히텐슈타인은 연속성이라는 개념을 반복성이라는 개념으로 전환했습니다. 모네의 작품 이미지는 전 세계에 널리 퍼져 있는 대중적인 이미지와 잘 어울렸고, 미국인은 이를 아이러니하게 재해석했습니다. 그러나 모네와 마찬가지로 고딕 건축이라는 모티브 자체는 더 이상 실제 주제가 아닙니다. 오히려 빛이나 재현 조건이 주는 비전과 효과가 이전의 모네와 마찬가지로 리히텐슈타인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앤디 워홀의 대중 문화 시리즈

“팝아트의 교황”으로 불리는 앤디 워홀은 리히텐슈타인의 접근 방식을 더욱 발전시켰습니다. 기계화된 복제에 대한 그의 작업은 소비 문화에 대한 신랄한 비판을 드러냅니다. 워홀은 마릴린 먼로나 코카콜라 캔과 같은 문화적 아이콘을 연작으로 재현함으로써 ‘광고 과대광고’의 시대에 이미지의 고유성이 희석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앤디 워홀은 초상화 및 기타 모티프에서 기계화된 재현의 장점과 한계를 시험하기도 했습니다. 마릴린, 엘비스, 마오쩌둥, 작은 꽃, 비행기 추락, 전기 의자, 코카콜라 등 그 어떤 이미지도 단독으로 존재하지 않으며, 모나리자조차도 유일무이한 것은 없습니다.

광고가 넘쳐나고 이미지가 기계화되던 시대에 워홀에게 예술 작품은 여러 에피소드가 반복해서 방송되는 TV 시리즈와 비슷했고, 등장인물이 지칠 줄 모르고 반복되어 화면에 여러 번 등장한 흔적을 강조했습니다.

실크 스크린 초상화와 그림은 자르고, 조작하고, 겹치는 오랜 과정의 결과물입니다. 모든 모델은 결국 자신의 일부, 본질, 현실의 일부를 잃어버리게 됩니다.

데미안 허스트의 아트 마켓

Hirst-Aurous-Bromide-2008
데미안 허스트 Aurous Bromide 2008

워홀의 발자취를 따라 데미안 허스트는 이 시리즈의 상업적 활용에 도전합니다. 워홀이 이 시리즈를 통해 대중 문화에 대해 논평했다면, 데미안 허스트는 미술 시장 자체를 비판하는 데 사용했습니다. 전 세계 갤러리에 대규모로 전시된 그의 ‘스팟 페인팅’은 예술이 어떻게 시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대량 생산되는 단순한 상품으로 전락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앤디 워홀이 초상화를 팔기 위해 수많은 초상화를 제작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던 것과 마찬가지로, 데미안 허스트는 전 세계 11개 가고시안 갤러리에서 동시에 전시할 정도로 스팟 페인팅을 시장에 넘쳐나게 했습니다.

1986년부터 2011년 사이에 제작된 여러 가지 색상의 물방울 무늬가 있는 총 300점의 그림이 전시되었습니다. 미술 시장의 세계화를 반영하는 확산입니다.

올리비에 모세와 독창성에 대한 질문

워홀의 뒤를 이어 다른 예술가들도 같은 모티프를 사용했지만, 개념적인 이유보다는 자신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1966년 100x100cm 크기의 흰색 캔버스 중앙에 완벽하게 중립적인 검은색 원을 그리는 8년에 걸친 엄격한 프로젝트에 착수한 올리비에 모세(Olivier Mosset)가 대표적입니다.

흰색 캔버스에 검은색 원을 그린 올리비에 모세의 작품은 아마도 가장 급진적인 작품 중 하나일 것입니다. 이처럼 중립적인 모티브를 선택함으로써 모세는 독창성과 독창성에 대한 개념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검은색 원의 신비로운 존재감은 200번 이상 재현되었습니다. 이는 예술 작품과 관련된 독창성과 독창성에 대한 관념을 조롱하는 방식입니다. 이 검은 원에는 작가의 영혼이나 개인적인 손길이 전혀 드러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올리비에 모세의 작품처럼 분명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시그니처가 됩니다. 자신의 게임에 사로잡힌 작가는 시리즈를 끝냈고, 이제 각 사례마다 자신을 너무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크리스토퍼 울의 시리즈

하지만 시리즈가 반드시 동일한 반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늘날 시리즈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매우 세분화된 일련의 작품으로 간주됩니다. 크리스토퍼 울에게 시리즈는 회화의 한계를 넘어 확장하는 수단으로 생각되었습니다.

이 미국 작가는 그림의 일부를 이전 캔버스의 복사본이나 잉크젯 프린트로 덮습니다. 이렇게 붙여진 페이지는 즉시 다시 칠해지고 선이 캔버스로 확장되어 다시 한 번 다른 그림이 탄생합니다.

첫 번째 작품에 대한 연속적인 수정은 반복 또는 더듬거림의 징후, 즉 스스로를 찾고 끊임없이 발자취를 되짚으며 자신을 찾아가는 창작의 징후가 됩니다. 이것은 공통된 주제나 형식에 의해 결정되는 일련의 작품이라기보다는 우회로로 정의되는 일련의 작품입니다. 마치 한 편의 그림 드라마가 됩니다.

크리스토퍼 울은 이전의 그림을 되살린 작품을 통해 시리즈가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지속적인 탐구이자 재평가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연재 예술의 새로운 시대를 향해

여러 명의 각본가가 각기 다른 영감을 받아 수년 동안 바통을 이어받아 캐릭터를 발전시키고 그 캐릭터가 진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진정한 드라마는 2000년대 초반 피에르 위그, 필립 파레노, 도미니크 곤잘레스-포어스터, 프랑수아 컬레, 조 스캔랜이 연이어 제작한 “앤 리”입니다. 각기 다른 영감을 받은 수많은 시나리오 작가들이 캐릭터를 개발하고 그녀의 진화를 보기 위해 수년 동안 바톤을 넘겨주었습니다.

일본 만화의 인물을 각자의 스타일로 각색한 여러 아티스트가 협업한 ‘앤 리’의 사례는 연작의 유연성을 잘 보여줍니다. 이들은 동일한 모티브를 재현하는 대신 각 작품이 더 큰 이야기의 한 장이 되는 내러티브 시리즈를 구성했습니다.

작가들이 일본 그래픽 회사 Kworks에서 그녀를 구입했을 당시에는 아직 입양되지 않았고 어떤 이야기의 일부도 아니었던 가상의 일본 만화 여주인공의 삶을 크고 텅 빈 아몬드 모양의 눈과 가늘고 뚜렷하지 않은 몸매를 가진 그대로 각자의 방식으로 옮겨 놓았습니다. ‘앤 리’ 시리즈는 타원으로 가득 찬 내러티브 모드를 발명하여 시청자가 누락된 연결 고리를 이어받습니다.

현대 예술가들의 시리즈 작품 글을 마치며

시리즈 연작 예술은 때때로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창작의 의미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왔습니다. 현대 예술가들은 독창성, 독창성, 가치에 대한 개념에 도전함으로써 반복, 과정, 맥락에 대한 끝없는 탐구의 문을 열었습니다. 모든 것이 끝없이 재생산되는 것처럼 보이는 세상에서 연작 예술은 이미지, 문화, 창작물과의 관계에 대한 또다른 성찰을 제공합니다.

글 공유하기👇

  • 카카오톡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pinterest